앤드루 시스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앤드루 시스코는 미국, 대만, 한국에서 활동한 야구 선수이다. 2001년 시카고 컵스에 입단하여 프로 생활을 시작했으며, 캔자스시티 로열스, 시카고 화이트삭스 등에서 메이저 리그 선수로 뛰었다. 2013년 대만 프로야구 EDA 라이노스에 입단하여 최우수 평균자책점을 기록했고, 2014년에는 한국 프로야구 KT 위즈에서 활동했으나 부진한 성적을 거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신 브라더스 선수 - 로만 콜론
로만 콜론은 도미니카 공화국 출신으로 애틀랜타 브레이브스에서 프로 생활을 시작해 MLB와 KIA 타이거즈 등 여러 팀에서 활동한 전 야구 선수이다. - 중신 브라더스 선수 - 닉 애디튼
닉 애디튼은 미국의 야구 선수로, KBO 리그 롯데 자이언츠에서 활동했으며, 메이저 리그와 KBO 리그, CPBL을 거쳐 은퇴 후 중신 브라더스의 국제 스카우트로 활동하고 있다. - KT 위즈 - 수원케이티위즈파크
수원케이티위즈파크는 1989년에 개장하여 KT 위즈의 홈구장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2013년 리모델링을 거쳐 2015년 한국 프로야구 올스타전을 개최한 대한민국 수원시에 위치한 야구장이다. - KT 위즈 - 익산 국가대표 야구훈련장
- 2014년 야구 - 유네스키 마야
유네스키 마야는 쿠바 리그에서 뛰어난 활약으로 사이 영 상을 수상하고 KBO 리그에서 노히트노런을 달성했지만, 미국과 한국 리그에서는 기대에 미치지 못하며 멕시코 리그를 거쳐 은퇴한 쿠바 출신의 전 야구 선수이다. - 2014년 야구 - 김평호
김평호는 해태 타이거즈와 쌍방울 레이더스에서 선수로 활동했으며, 은퇴 후 여러 프로 야구단에서 수비 및 주루 코치를 맡아 지도자 경력을 쌓은 대한민국의 야구인이다.
앤드루 시스코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앤드루 시스코 |
출생일 | 1983년 1월 13일 |
출생지 | 콜로라도주 스팀보트스프링스 |
포지션 | 투수 |
투구 | 좌투 |
타석 | 좌타 |
선수 경력 |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MLB) 데뷔 | 2005년 4월 4일, 캔자스시티 로열스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MLB) 마지막 경기 | 2007년 5월 27일, 시카고 화이트삭스 |
중화 직업봉구 대연맹 (CPBL) 데뷔 | 2013년 3월 31일, EDA 라이노스 |
중화 직업봉구 대연맹 (CPBL) 마지막 경기 | 2016년 6월 25일, 중신 형제 |
한국야구위원회 (KBO) 데뷔 | 2015년 3월 29일, KT 위즈 |
한국야구위원회 (KBO) 마지막 경기 | 2015년 5월 24일, KT 위즈 |
소속 팀 | 캔자스시티 로열스 (2005년–2006년) 시카고 화이트삭스 (2007년) EDA 라이노스 (2013년–2014년) KT 위즈 (2015년) EDA 라이노스 (2015년–2016년) 중신 형제 (2016년)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MLB) 기록 | |
승패 기록 | 3승 9패 |
평균자책점 | 5.18 |
탈삼진 | 141 |
중화 직업봉구 대연맹 (CPBL) 기록 | |
승패 기록 | 25승 20패 |
평균자책점 | 3.73 |
탈삼진 | 385 |
한국야구위원회 (KBO) 기록 | |
승패 기록 | 0승 6패 |
평균자책점 | 6.23 |
탈삼진 | 42 |
학력 | |
고등학교 | 이스트레이크 고등학교 |
2. 미국 프로야구 시절
2001년 MLB 드래프트 2라운드에서 시카고 컵스에 지명되어 프로 생활을 시작했다. 컵스 산하 마이너 리그에서는 주로 선발 투수로 활동했으나, 메이저 리그 무대를 밟지는 못했다. 2004년 오프 시즌 룰 5 드래프트를 통해 캔자스시티 로열스로 이적했고, 2005년 4월 4일 메이저 리그에 데뷔했다. 로열스에서는 구원 투수로 활동하며 첫 시즌 평균자책점 3.11을 기록했다.
2006년 시즌 후 시카고 화이트삭스로 트레이드되었고, 2007년까지 화이트삭스 소속으로 뛰었다. 2008년에는 토미 존 수술을 받아 시즌을 통째로 쉬었고, 이후 자유 계약 선수가 되었다. 수술 후에는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뉴욕 양키스,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등 여러 팀과 마이너 리그 계약을 맺으며 재기를 노렸으나, 메이저 리그에 다시 오르지는 못했다. 주로 각 팀 산하의 마이너 리그 팀에서 활동했으며, 2011년에는 멕시칸 리그에서, 2012년에는 멕시칸 리그와 독립 리그인 애틀랜틱 리그의 서머셋 패트리어츠에서 뛰기도 했다.
2. 1. 시카고 컵스
2001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드래프트 2라운드에서 시카고 컵스에 지명되어 계약하며 프로 생활을 시작했다. 컵스 산하 마이너 리그에서는 주로 선발 투수로 기용되었다. 그러나 메이저 리그에 데뷔하지는 못하고 마이너 리그에만 머물렀으며, 2004년 오프 시즌에 열린 룰 5 드래프트에서 캔자스시티 로열스에 전체 2순위로 지명되어 팀을 옮기게 되었다.2. 2. 캔자스시티 로열스
2004년 룰 5 드래프트에서 전체 2순위로 캔자스시티 로열스에 지명되어 시카고 컵스에서 이적했다. 로열스는 그를 구원 투수로 전향시켰다.2005년 4월 4일 디트로이트 타이거스를 상대로 메이저 리그 데뷔전을 치렀다. 룰 5 드래프트 규정에 따라 2005년 시즌 내내 메이저 리그 로스터에 포함되었으며, 루키 시즌 평균자책점 3.11을 기록하며 준수한 활약을 보였다.
하지만 2006년에는 평균자책점 7.10으로 부진한 모습을 보였고, 시즌 중 트리플 A 팀인 오마하로 강등되기도 했다. 같은 해 8월 8일 다시 메이저 리그로 승격되었으나, 시즌 종료 후인 12월 16일 로스 그로드와의 트레이드를 통해 시카고 화이트삭스로 이적하게 되었다.
2. 3. 시카고 화이트삭스
2006년 12월 16일, 캔자스시티 로열스 소속이었던 시스코는 로스 글로드와의 트레이드를 통해 시카고 화이트삭스로 이적했다. 2007년 시즌에는 화이트삭스 소속으로 메이저 리그 19경기에 출전하여 8.36의 평균자책점을 기록했다. 같은 해, 마이너 리그 AAA팀인 샬럿 나이츠에서는 23경기에 등판했으며, 이 중 15경기에 선발 투수로 출전했다.2. 4.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토미 존 수술을 받은 후, 2009년 3월 오클랜드 애슬레틱스와 55만달러 규모의 마이너 리그 계약을 체결했다. 그러나 수술 후유증으로 인한 회복이 길어져, 애슬레틱스 소속으로는 한 경기도 출전하지 못했다.2. 5.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2010년 2월, 일본 프로 야구(NPB)의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 스프링 캠프에 테스트 선수로 참가했으나 합격하지 못했다. 이후 같은 해 3월 6일,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와 마이너 리그 계약을 맺었다. 자이언츠 산하 AA팀인 리치먼드 플라잉 스쿼럴스 소속으로 48경기에 등판하여 4승 4패, 평균자책점 4.32를 기록했다.2. 6. 뉴욕 양키스
시스코는 2011년 스프링 트레이닝에 초청받아 뉴욕 양키스와 마이너 리그 계약을 맺었다.[1] 하지만 스프링 트레이닝에는 합류하지 못했다. 이후 양키스 산하 AAA급 팀인 인터내셔널 리그의 스크랜턴 소속으로 16경기에 등판하여 2승 0패, 평균자책점 1.88을 기록했으나, 5월 27일에 방출되어 자유 계약 선수(FA)가 되었다.[2][3] 이후 멕시칸 리그의 피라타스 데 캄페체로 이적하여 10경기에 출전해 1승 2패, 평균자책점 8.27을 기록하며 시즌을 마무리했다.2. 7.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2012년 2월 9일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와 마이너 리그 계약을 맺었다.3. 대만 프로야구 시절
2013년 대만 프로야구 리그에 진출하여 EDA 라이노스 소속으로 활동을 시작했다. 첫 해에는 리그 최우수 평균자책점 타이틀을 획득했으나 시즌 중 팀을 떠났다. 2014년 EDA 라이노스로 복귀했지만, 같은 해 6월 한국 프로 야구의 kt 위즈로 이적했다. 2015년 kt 위즈에서 방출된 후 다시 EDA 라이노스로 돌아갔으며, 2016년에는 중신 브라더스와 계약했으나 시즌 중 자유 계약 선수로 풀려났다.
3. 1. EDA 라이노스 (현 푸방 가디언스)
2013년 중화 직업봉구 연맹(CPBL)의 EDA 라이노스에 입단하여 활동했다. 당시 등록명은 '''시크'''였다. 주로 선발 투수로 활약했으며, 전반기에만 133과 1/3 이닝을 소화하며 평균자책점 2.70으로 리그 1위를 기록했다. 이를 통해 리그 최우수 평균자책점 타이틀(최우수 방어율 선수상)을 차지하였다. 그러나 시즌 중 컨디션 난조를 보이며 8월 27일에 팀을 떠났다.2014년 2월 7일, EDA 라이노스와 1년 계약을 맺고 복귀했다. 그 해 개인 통산 첫 8경기에서 67개의 탈삼진을 기록하며 CPBL 신기록을 세우는 등 인상적인 모습을 보였다.[4] 6월 1일 라미고 몽키스와의 경기에서 시즌 8승을 거둔 것을 마지막으로 다시 팀을 떠났고, 이후 6월 11일 한국 야구 위원회(KBO)의 kt 위즈에 입단하게 된다.
2015년에는 kt 위즈 소속으로 KBO 리그 1군 무대에 등판했으나, 승리를 기록하지 못하고 5월 27일 웨이버 공시되어 팀을 나왔다. 이후 6월 5일 EDA 라이노스로 다시 복귀하여 남은 시즌을 소화했다.
3. 2. EDA 라이노스 (두 번째)
2015년 KT 위즈 소속으로 처음 1군 무대에 등판했으나, 승리를 기록하지 못한 채 같은 해 5월 27일 웨이버 공시되어 팀을 떠났다. KT 위즈는 그의 대체 선수로 댄 블랙을 영입하였다. 방출 이후, 시스코는 이전에 활동했던 중화 직업봉구 대련맹(CPBL)의 EDA 라이노스와 2015년 6월 5일 다시 계약하며 복귀했다.[6] 복귀 후 시즌 동안 17경기에 선발 등판하여 6승 7패, 평균자책점 4.52를 기록했다.[6]3. 3. 중신 브라더스
2016년 3월 29일, 중화 직업봉구 대연맹(CPBL)의 중신 브라더스와 계약했다. 팜 리그를 거쳐 1군 로스터로 승격되었다.[7] 그러나 시즌 중인 같은 해 6월 28일 자유 계약 선수(FA) 신분이 되어 팀을 떠났다.4. 한국 프로야구 시절
2014년 6월 11일, 한국 야구 위원회(KBO) 리그의 kt 위즈에 입단하였다.[5] 당시 신생팀이었던 kt 위즈는 2014년 시즌 2군 리그에만 참가했기 때문에, 시스코는 해당 연도에 1군 경기에 등판하지 못했다.[5] 2015년 시즌 처음으로 1군 마운드에 올랐으나, 부진한 성적을 거두고 시즌 중인 5월 27일 웨이버 공시되어 팀을 떠났다.[5]
4. 1. KT 위즈
2014년 여름, KBO 리그의 신생팀 KT 위즈에 창단 2호 외국인 선수로 입단했다. 계약 조건은 월 8만달러, 1년 2개월 총액 112.00000000000001만달러로 알려졌다. 그는 역대 KBO 리그 선수 중 최장신이었다. KT 위즈는 2014년 시즌 2군 리그에만 참가했기 때문에, 시스코는 해당 연도에 1군 경기에 등판하지 않았다.[5]2015년 시즌 처음으로 1군 마운드에 올랐으나, 6경기에 등판하여 승리 없이 6패 2홀드, 39이닝 동안 평균자책점 6.23이라는 부진한 성적을 기록하는 데 그쳤다.[5] 결국 2015년 5월 27일 웨이버 공시되었고, 다음 날인 5월 28일 공식적으로 퇴출되었다.[5] 이는 2015년 시즌 KBO 리그 외국인 선수 중 3번째 퇴출 사례였다. KT 위즈는 그의 대체 선수로 댄 블랙을 영입하였다.
방출된 시스코는 2015년 6월 5일, 이전에 뛰었던 대만 프로야구의 EDA 라이노스로 복귀했다.
5. 기타
2010년 2월, 일본 프로 야구의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 스프링 캠프에 테스트 선수로 참가했지만 불합격되었다. 이후 멕시칸 리그로 이적했으며, 2012년에는 멕시칸 리그와 독립 리그인 애틀랜틱 리그의 서머셋 패트리어츠에서 뛰었다.
6. 상세 정보
앤드루 시스코는 MLB에서 3년간 캔자스시티 로열스와 시카고 화이트삭스 소속으로 활동했으며, 주로 불펜 투수로 등판하여 통산 3승 9패 1세이브 23홀드, 평균자책점 5.18을 기록했다.[1][2] 이후 대만의 CPBL에서 4년간 활약하며 EDA 라이노스와 중신 브라더스에서 뛰었다. CPBL에서는 주로 선발 투수로 등판하여 통산 25승 20패, 평균자책점 3.73을 기록했으며, 특히 2013년에는 2.70의 평균자책점으로 리그 최우수 방어율 타이틀을 차지했다.[1][2] 한국의 KBO 리그에서는 2015년 kt 위즈 소속으로 잠시 활동하며 17경기에 등판(5선발)하여 6패, 평균자책점 6.23을 기록했다.[1][2]
선수 시절 주로 사용한 등번호는 '''51'''번(MLB, KBO 초기)과 '''40'''번(CPBL, KBO 후기)이다.[1][2]
6. 1. 연도별 투수 성적
단
판
발
투
봉
사
구
리
전
이
브
드
률
자
구
이
닝
안
타
홈
런
넷
의
사
구
에
맞
는
공
삼
진
투
크
점
책
점
자책점